검도 이야기 1

딱히 검도를 배워야 겠다고 생각한건 아니었는데, 기회는 정말 우연하게 찾아왔었다.

1998년도 고등학생 2학년 시절, 갑작스레 교육정책에 특활 활동이 강조 되며 야자 강요(?)가 약화되었고 그로인해 잠시 고등학생들에게 개인 특활 활동이 허가 되던 시기가 있었다.

이때 갑자기 “교실에 틀어 박혀 젊은 시간을 보내기 싫다!” 라는 생각이 들어 부모님을 설득하여 다니게 된 곳이 검도장이었다.

물론 어린시절부터 태권도를 배우면서 이쪽 분야에 관심이 있었긴 했지만 왜 갑자기 검도를 선택했는지는 지금으로서도 잘 이해하기 힘들다.

당시 아버지께서는 한번 결정하신 일에는 더이상 왈가왈부 하지는 않는 성격이셔서 형식상으로 스쳐지나갔던 특활활동 붐 이후에도 내가 검도장을 계속 다니는 것에 대해서는 전혀 개의치 않으셨고, 덕분에 고3이 무슨 검도냐는 담임 선생님의 강력한 항의(?)에도 불구하고 나는 고3때도 꾸준히 검도장을 다닐 수 있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검도장 다녔던것 만큼 공부를 했으면 소위 말하는 명문대는 가지 않았을가 하지만, 검도를 통해 변화된 자신을 생각해보면 전허 후회되지 않는 선택이기도 하다. 그리고 최소한 반 석차 10등은 유지해야 한다는 아버지와의 약속 때문에 학교 공부도 그리 소홀이 하지 않아서 대학 진학 문제로 걱정하는 일은 없었다.

결과적으로 우연한 기회에 시작하게 된 검도였지만, 검도로 인해 내 삶은 크게 변했다.

중학교 때 소위 일진에게 잘못 걸려 탈탈 털린 이후 생긴 트라우마를 극복할 수 있는 촉매제가 되어 주었고, 점점 단단해 지는 몸과 마음을 통해서 상당수의 컴플렉스를 극복하고 자신감을 되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좀 슬픈 이야기지만 싸움이든 공부든 잘하는 것 없는 애가 덕후질을 하면 병신이지만 싸움이든 공부든 잘하는 애가 덕후질을 하면 괴짜가 된다는 현실을 깨닫게 되었달까?

어쨋든 대학교에 가고 나서도 검도는 계속 하게 되었고, 진검도 써보게 되는 행운도 얻을 수 있었다.

군대 문제로 그만 두게 된 이후로 더이상 검도를 하고 있지 않는 데다가 요즘 주짓수를 배우겠다며 이래저래 부산떨고 있지만, 심난할때면 오륜서를 찾아 읽고 목검을 만지작 거리고 있는 나를 보면 아직 검도는 잊지는 못하고 있는거 같다.

그리고 요건 대학생활 동안 함께 했던 진검…검1

 

모든 검도인들의 지침서인 미야모토 무사시의 오륜서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57576

 

BJJ – Brazilian jiu-jitsu

회사생활 5년차 즈음 (당시 LG CNS에서 근무) 점점 하강곡선을 긋는 체력에 위기감을 느끼고 갑자기 배우고 싶어진게 주짓수다.

일반 직장인의 체력관리라면 피트니스 클럽 같은 곳을 가는게 맞겠지만, 어릴때부터 배워오던게 있으니 그냥 그쪽 노선을 쭈욱 가는게 더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때문이다.

주짓수가 아직 우리나라에서 인기있는 종목이 아니다보니 배울 수 있는 곳은 손에 꼽을정도이고, 그중 내가 문을 두드리게 된 곳은 아현역에 근처에 이희성 주짓수 아카데미(http://www.bjj.co.kr/) 이다.

이희성 관장님은 좀 서글서글하신 성격에 장난끼가 좀 많으신 느낌인데, 무려 힉슨 그레이시 계보의 블랙벨트다! 오오! @_@b

처음 배우기 시작한게 2011년 여름즈음이니 연수로는 거의 2년이 넘어가지만, 회사생활에 치이다보니 실제 다닌 것은 4-5개월 정도밖에 안된 다는 것이 문제다. 그러다보니 정상적이면 블루 벨트여야 하지만 아직 화이트 벨트에 머물고 있고, 현재 시점으로 도장에 안나간지가 반년이 넘었다!

그리고 지난 1월에 갑자기 찾아온 어깨 통증으로 도장에 나가려는 의지가 다시 한풀 꺽이고 있다 ㅠ.ㅠ

여튼 어깨 나으면 다시 나가야지.
더 나이먹기 전에 블랙벨트는 아니더라도 퍼플벨트는 따야 할텐데….

Paas와 Cloud Foundry, 그리고 Cloulu

Paas는 한마디로 설명하기 힘들지만, 웹어플리케이션 개발자가 개발을 쉽게 할 수 있게 Backend 서비스를 자동화 해주는 뭐 그런 개념의 서비스라고 볼 수 있다.

그럼 Cloud Foundry는 무엇인가?

요건 VMWare에서 오픈소스로 개발중인 Paas 프로젝트이다. 루비로 개발되어서 몇몇 사람들에겐 골칫거리(?)이기도 하다. (http://www.cloudfoundry.org/)

그럼 다시 Cloulu는 무엇이냐?

이건 내가 일하고 있는 SK Planet에서 Cloud Foundry를 활용하여 개발하고 있는 Paas의 제품명이다. 그리고 요즘 내가 하고 있는 일이기도 하다. Cloud Foundry가 루비로 개발되어 루비를 새로 배워야하는 진입장벽이 있긴 하지만, 하나만 하고 있으면 금방 질려하는 내 성격 때문인지(이력서에서는 늘 새로운 것을 갈구하는 성격이라고 포장하여 쓴다.) 요즘 루비를 접하는게 상당한 자극제가 되고 있다.

Cloud Foundry 소스가 워낙 복잡한데다가 아직 개발중인 단계라 그런지 이런저런 문제들로 머리가 어질어질 하지만, 메시지큐를 메인으로 한 신선/깔금(?)한 아키텍처가 상당히 마음에 드는데다가 이거저거 배우는게 많아 상당히 즐거운 상태이다.

쓰고나니 글 제목이 무슨 영화처럼 되어버렸다.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0472

 

개봉박두!

처음으로 블로그라는 녀석을 직접 돌려본다.

싸이월드에 몰아넣었다 패망(?)한 이후

페북이나 공공 서비스에 의존적으로 되는게 조금 기분 나빠 졌달까?

아무래도 이런저런 개인적인 기록을 오래 남기기 위한 안전장치가 하나 필요하긴 했다.

(카페24를 너무 믿지 말라는데, 흠흠…)

아, 처음이라 어색하네.